'어른의 기분 관리법' 소개 글 ‘어른을 위한 구체적인 기분 관리법!’이 책에서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어른을 위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시합니다. 우리가 모호하게 알고 있는 기쁨, 슬픔, 행복, 상실 모든 감정에 대해 저자의 경험담부터 전문가의 견해까지 담겨 읽기 쉬우면서도 독자 입장에서 일상 속에서 따라 할 수 있게 내용이 구성되어 있습니다.결혼식장에서 아버지가 딸을 보며 흘리는 눈물은 마냥 상실감을 겪는 것이기도 마냥 기쁜 것도 아닌 행복과 슬픔이 공존하는 감정일 것입니다. 소중한 사람에게 혹은 친구에게 화를 냈을 때도 마찬가지 입니다. 마냥 화가 나는 게 아니라 그 안에는 서운함과 상대가 알아주길 바라는 마음까지 함께할 것입니다.이처럼 우리들이 일상 속에서 겪는 감정이란 복잡하고 쉽게 알아차리기가..
'나쁜 감정에 흔들릴 때 읽는 책' 도서 정보 ‘내면가족시스템’의 구성원에는 어떤 감정들이 있을까요? 이 책은 이른바 나쁜 감정으로 일컬어지는 대표적인 감정 6가지를 분석합니다. 불안, 죄책감, 분노, 미움, 무력감, 슬픔 등 우리를 힘들게 하는 감정에 관한 다양한 상담 사례를 함께 살펴보며, 그 치유 과정을 들여다봅니다. 가족 내에서도 한 구성원의 주장이 너무 커지면, 그에 따라 주장을 굽히게 되는 구성원이 생기고, 다른 가족에게 문제라고 낙인찍히는 구성원이 생기듯, 감정도 마찬가지입니다. 감정 시스템을 이루는 수많은 감정 소인격체들은 크게 ‘강경파 감정’과 ‘온건파 감정’으로 나뉩니다. 강경파 감정이란 외부로 강하게 자주 표출되는 감정을 말합니다. 불안과 분노가 강경파 감정의 대표주자입니다. 반대로 ..
'감정이라는 세계' 책 정보10가지 감정을 총해 알아보는 감정의 목적- 두려움 : 나쁜 감정이란 없다- 사랑 : 감정과 호르몬의 상관관계- 지루함 : 감정이 보내는 신호를 읽어라- 분노 : 분노라는 감정은 실제하는가- 배고픔 : 장내 미생물이 감정에 미치는 영향- 자기 자비 : 자신에게 자비로운 사람들의 힘- 애도 : 내 안의 자연스러운 감정을 허라하라- 인내심 : 편안함에 이르는 감정 수업- 열정 : 마음을 얽매는 것들로부터 해방되기- 만족감 : 더 나은 삶을 위한 감정 다루기 20만 독자가 열광한 2021 슈피겔 베스트셀러내 안의 감정을 더 잘 이해할 수는 없을까? 호르몬은 감정을 어떻게 변화시킬까? 나쁜 감정이 몰려올 때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감정을 더 잘 다룰 수 있다면 어떨까? 전 세계의 연..
'나는 어떻게 행복할 수 있는가' 작가 소개저자 - 장재형 세렌디피티 인문학 연구소 대표 및 장수코리아 CEO입니다. 오프라인 독서 모임 ‘장작가의 인문학살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한 달에 100권이 넘는 책을 소화하는 독서의 달인이자 서평가이며 강연가입니다. 대학 때부터 30여 년간 고전 문학, 동서양 철학, 그리고 역사에서부터 서양 미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책을 섭렵하고 깨달은 바를 우리 삶과 잇는 실용적인 방식으로 독서와 글쓰기를 해 왔습니다. 그리고 이를 칼럼과 저서로 독자에게 전합니다.《나는 어떻게 행복할 수 있는가》는 감수성, 욕망, 삶과 죽음, 행복이라는 큰 주제를 다룬 인문학 에세이입니다. 저자가 살면서 고민했던 주제들, 즉 자아, 희망, 꿈, 실패, 죽음, 우정, 여행 등과 관련..
'참으로 마음이 행복해지는 책' 소개내 삶에 행복을 더하는 7가지 태도- 아침에는 나 자신에게 인사를 건네자- 보고, 듣고 느낀 것을 마음의 재산으로 삼자- 혼자서도 잘 지낼 수 있는 사람이 되자- 받은 사랑에 대해서는 제대로 보답하자- 인생을 오롯이 내 두 다리로 걸어가자- 스스로를 돌보는 마음 스트레칭 시간을 갖자- 바라고, 이루고 꿈꾸는 삶을 살자 심리상담사가 전하는 행복을 끌어당기는 마음 습관. 오랜 세월 수많은 사람의 아픈 마음을 다독이고 조언해 온 경험에서 우러난 ‘행복한 인생’에 대한 통찰과 비결을 담았습니다. 걱정과 고민이 끊임없이 이어지는 이들에게 홀가분하고 기분 좋게 살아갈 수 있는 방편들을 전해줍니다. 하루를 시작하며 즐거움을 충전하는 방법, 내 감정을 이해하는 방법, 스트레스 없는..
'스스로 해내는 아이의 비밀' 저자 소개 김보경인간의 의사결정과 자기 조절 능력을 탐구하는 행동과학자이자 신경심리학박사입니다. 고려대학교 심리학과에서 학부와 석사를 마쳤고, 미국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의사결정 신경과학을 전공하여 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박사 학위 논문은 로 사람의 뇌가 어떻게 의사결정을 내리는지가 주요 연구 주제입니다. 특히 자기 통제에 관련한 뇌 기제를 밝히며 환경을 바꾸면 사람의 의사결정이 변화되며, 자기 통제능력도 좋아질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증명하는 연구들을 해 왔습니다. 를 통해 부모들에게 뇌과학과 심리학 기반의 육아 콘텐츠를 전달하고, 건강하고 균형 잡힌 뇌 발달을 위한 아이들의 행동 및 환경 개선을 컨설팅합니다. 현재 미국 캘리포니아 실리콘밸리에서 두 아이를 키우며 다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