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서 추천

'그러나 꽃보다도 적게 산 나여' 책 소개, 작가 소개, 목차, 출판사 서평

by 져느니 2024. 7. 20.

 

 

출처 : 교보문고

 

'그러나 꽃보다도 적게 산 나여' 책 소개

“꽃인 줄도 모르고 잎인 줄도 모르고 피어 있던 시간이 내게도 있었다”
 
나희덕의 시선집. 곁에 ‘젊은 날의 시’라는 부제가 붙었습니다. 등단 35주년에 펴낸 ‘연둣빛 시절’의 시 모음으로, 초기 시집 여섯 권에서 시인이 직접 고른 시들을 한데 묶었습니다. 나희덕은 산문에서 밝힌 적 있습니다. ‘어두운 허공에 드러난 뿌리처럼 갈증과 불안에 허덕이던 그 나날들이 시인으로서는 가장 파닥거리며 살아 있었던 시기’라고. 방황과 해찰의 시간, 상처받고 혼란스러운 현실, 모든 것이 낯설고 혼자라는 상념에 빠져 있던 날들, 미뤄둔 질문들과 맞닥뜨린 경험이, ‘꽃인 줄도 모르고 잎인 줄도 모르고 피어 있던 시간’이 투명하고 깊은 50편의 시 속에 오롯이 담겼습니다.
발문을 쓴 안희연 시인의 말처럼 나희덕의 시는 ‘잠 못 이루는 고통과 혼돈의 날들 속에서도 또박또박 사랑을 말’하며, ‘죽음의 악력에 끌려가지 않고 기어코 삶 쪽으로 무게중심을 이동해내는 시’입니다. 시 읽기의 즐거움을 처음 느끼기 좋은 무해한 영혼들에게, 스무 살에 읽었던 시집을 마흔에 다시 펼칠 이들에게, 연둣빛 청춘의 시기를 통과하는 이들에게 이 시선집은 오랜 친구처럼 곁에 자리할 것입니다.

 

'그러나 꽃보다도 적게 산 나여' 작가 소개

저자 - 나희덕
198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시집 『뿌리에게』 『그 말이 잎을 물들였다』 『그곳이 멀지 않다』 『어두워진다는 것』 『사라진 손바닥』 『야생사과』 『말들이 돌아오는 시간』 『파일명 서정시』 『가능주의자』와 시론집 『보랏빛은 어디에서 오는가』 『한 접시의 시』 『문명의 바깥으로』, 산문집 『반통의 물』 『한 걸음씩 걸어서 거기 도착하려네』 『저 불빛들을 기억해』 『예술의 주름들』 등이 있다.
김수영문학상,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현대문학상, 이산문학상, 소월시문학상, 지훈상, 임화문학예술상, 백석문학상, 영랑시문학상, 대산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러나 꽃보다도 적게 산 나여' 목차

시인의 말

1.
서시序詩
푸른 밤
뿌리에게
땅끝
오분간
저 숲에 누가 있다
그 복숭아나무 곁으로
살아라, 그리고 기억하라
그런 저녁이 있다
마른 물고기처럼
사랑
어두워진다는 것
나 서른이 되면

2.
일곱 살 때의 독서
못 위의 잠
누에의 방
어린것
저녁을 위하여
허공 한 줌
연두에 울다
기러기떼
저 물결 하나
벗어놓은 스타킹
이 복도에서는
너무 늦게 그에게 놀러간다
방을 얻다

 

3.
귀뚜라미
살아 있어야 할 이유
고통에게 2
11월
엘리베이터
돼지머리들처럼
꽃병의 물을 갈며
음지의 꽃

뜨거운 돌
떨기나무 덤불 있다면
그 말이 잎을 물들였다

4.
상수리나무 아래
포도밭처럼
풍장의 습관
어떤 출토出土
사라진 손바닥
섶섬이 보이는 방
야생사과
사흘만
그곳이 멀지 않다
산 속에서
꽃바구니
다시, 십 년 후의 나에게

발문_‘젊은 날의 시’를 다시 읽는 저녁_안희연 시인

 

 

'그러나 꽃보다도 적게 산 나여' 출판사 서평

“내가 실패했다는 생각이 들 때마다 나희덕의 시집을 곁에 두어왔습니다” - 안희연 시인
지금 함께, 다시 읽고 싶은 나희덕의 시

「땅끝」, 「푸른 밤」, 「방을 얻다」, 「음지의 꽃」, 「뿌리에게」, 「귀뚜라미」, 「그 복숭아나무 곁으로」, 「일곱 살 때의 독서」, 「섶섬이 보이는 방」, 「그런 저녁이 있다」, 「어떤 출토」……. 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나희덕의 시들이다. 그의 시를 한 편도 읽지 않고 어른이 되기란 쉽지 않다. 그의 시는 단정하고 그윽한 언어의 참맛을 우리 내면에 꺾꽂이하듯 심어주고 떠난다.
시간이 지나도 공감이 가는 시들이 있다. 나희덕의 시가 그러하다. 그는 소외되고 아픈 사람과 끝없이 추락하는 세상을 향한 눈길을 거두지 않는다. 현대문명에 대한 비판적 사유와 생태적 감수성, 사회구조의 불합리함과 불평등, 삶의 모순과 서글픔을 담아내면서도, 그 안에서 따뜻한 어머니의 목소리로 사람과 세상 모두를 감싼다.
발문을 쓴 안희연 시인의 말처럼 나희덕의 시는 ‘잠 못 이루는 고통과 혼돈의 날들 속에서도 또박또박 사랑을 말’하며, ‘죽음의 악력에 끌려가지 않고 기어코 삶 쪽으로 무게중심을 이동해내는 시’다. 시 읽기의 즐거움을 처음 느끼기 좋은 무해한 영혼들에게, 스무 살에 읽었던 시집을 마흔에 다시 펼칠 이들에게, 연둣빛 청춘의 시기를 통과하는 이들에게 이 시선집은 오랜 친구처럼 곁에 자리할 것이다.

우리는 언제 시를 읽을까. 정해진 법칙이 있는 것은 아니겠지만 마음이 벅차오를 때보다는 가난할 때, 맑은 날보다는 흐리고 탁한 날 시를 찾게 되는 것도 같다. 질문을 이렇게 바꿔볼 수도 있겠다. 당신은 언제 나희덕의 시를 읽습니까. 이 또한 정답이 있을 리 없는 물음이겠지만 나의 경우 이렇게 말해볼 수 있겠다. 내가 실패했다는 생각이 들 때마다 그의 시집을 곁에 두어왔습니다.
그의 시는 박자가 딱딱 들어맞고, 모든 것이 순조롭게 이루어지는 풍경과는 멀리 있었다. 어긋나고, 잡아먹히고, 구부러지고, 늙고, 터지고, 기어오르고, 잠 못 이루는 고통과 혼돈의 날들 속에서도 또박또박 사랑을 말했다. 죽음의 악력에 끌려가지 않고 기어코 삶 쪽으로 무게중심을 이동해내는 시였다. 어떻게 그럴 수 있나 그게 정말 가능한 일인가 반문하면서도 동아줄처럼 그의 시를 붙들던 날들이 있다. 삶이 가혹해질수록 더 세게 그의 시를 붙들었던 날들이.
-안희연 시인의 발문 중에서